top of page
33.jpg
55.jpg

KAIST부설 한국과학영재학교 온라인 과학매거진 코스모스

  • 블랙 페이스 북 아이콘
  • 블랙 인스 타 그램 아이콘

2015년 우리나라를 덮친 질병, 메르스

최종 수정일: 2020년 11월 9일

2015년, 한국 수도에서 사람들이 안면 마스크를 쓰고 거리를 걸어 지하철을 타는 모습을 보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었습니다. 그들은 질병 중동 호흡기 증후군 (MERS)의 발발로 인해 예방 조치를 취하고 있었으며, 최초 감염자가 중동에서 서울로 귀국 한 후 5 월에 널리 퍼졌습니다

.

메르스(MERS)는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한 중증 급성 호흡기 질환입니다. 명확한 감염원과 감염경로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중동 지역의 낙타와의 접촉을 통해 감염될 가능성이 높고 사람 간 밀접접촉에 의한 전염이 가능합니다. 21세기 초에 같은 코로나 바이러스 원인의 전염병인 사스(SARS)와 비슷한 호흡기 증후군으로, 2015년에 한국에 출현했습니다.


2012년 9월, 알리 모하메드 자키 박사가 사우디아라비아의 한 폐렴 환자에게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를 분리하면서 최초 발병 사례가 보고되었습니다. 이후 레바논, 요르단 등 주변국에서도 환자가 발생했으며, 이들 국가를 여행하고 돌아온 사람들에 의해 미국과 유럽 등지로 전파되고 있습니다.


메르스의 감염자 대부분은 심한 급성 호흡기 질환을 앓게 됩니다. 증세로는 고열, 기침, 호흡 곤란이 있고, 일부 환자는 설사나 구토 등의 소화기 쪽 문제를 겪기도 합니다. 메르스의 잠복기는 평균 5일이며, 최소 2일에서 최대 14일까지 지속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문제는 더 심각한 합병증인 폐렴이나 급성 신부전이 오는 경우가 많다는 것 입니다. 만약 광범위하게 혈전이 형성되거나 출혈을 일으키는 현상인 파종성 혈관 내 응고(DIC)가 오기도 하고, 심장을 싸고 있는 심낭에 염증이 발생하여 심장에 문제를 일으키는 심낭염이 오기도 합니다. 주된 증상으로 분류되는 것은 급격한 호흡기 증상과 급성 신부전증 입니다.


현재 한국에는 100건 이상의 MERS 사례가 확인되었습니다. 몇년이 지금도 사람들은 바이러스를 둘러싼 많은 질문과 두려움을 가지고 있습니다. 얼마나 전염성이 있을까? 바이러스가 새로운 형태로 발전했을까? 서울과 같은 경우가 계속 생길 것인가, 아니면 줄어들 것인가?


서울에서 열리는 세계 과학자 기자 회견 (World Conference of Science Journalists)에서 MERS 특별 총회에서 두 명의 한국 과학자들이 현재까지 알려진 바이러스와 그 확산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MERS 바이러스를 싸울 백신이나 약은 없으며 감염된 사람의 40 %가 사망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학자들은 유망한 뉴스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MERS가 사람들 사이에 어떻게 퍼져 나가는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지만, 많은 바이러스가 변이되어 새로운 형태로 발전하고 점차 전염 될 수있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파스퇴르 연구소 (Pasteur Institute Korea)의 홍기종 연구원은 유전자 검사를 통해 지금까지는 돌연변이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지적했습니다. 아직도 이 바이러스는 언제든지 돌연변이가 생겨 더 쉽게 전염 될 수 있다는 것을 유념해야 합니다.


전 세계적으로 거의 모든 바이러스 확산이 병원 내에서 발생했습니다. 한국의 경우 현재 서울의 아산 병원에서 질병 전염병 전문가 인 김계한 박사는 분명히, 바이러스는 복제하기까지 약간의 시간이 걸리며, 일단 개인을 감염 시키면 스스로의 복제품을 만들어 확산된다고 말했습니다. 감염된 사람의 약 25 %는 증상을 보이지 않습니다. 나머지의 경우 이미 바이러스가 신체에서 광범위하게 복제되어 치료를 받기가 어려울 때 발생합니다.


전문가들은 바이러스가 공중을 통해 전파되지 않는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병원에서의 감염은 같은 방이나 대기실을 공유하는 환자에서 발생하는데, 최대 2미터 정도 떨어져 있더라도 마찬가지입니다. 의사는 감염된 환자와 감염되지 않은 환자에게 동일한 의료 기기를 사용하는 것도 이러한 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얘기합니다.


전문가들은 MERS에 감염된 사람들의 사망률은 30~40 %이지만 대부분의 사망자는 이미 다른 병으로 입원 한 환자들에 속한다는 사실을 지적했습니다. 이 환자들이 앓고 있던 선재 질환으로 인해 바이러스에 대한 저항이 약화되었을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반면에 다른 질병이 없는 감염된 병원 간병인들의 사망률은 10 % 미만입니다.


전문가들은 학교를 폐쇄하거나 안면 마스크를 사용하는 등의 조치는 바이러스가 어떻게 퍼지지 않았는지 연구원들이 정확히 밝히지 않았기 때문에 현명한 예방 조치라고 말했습니다. 감기와 같은 증상을 가진 사람들은 이 시점에서 감염을 전염시키지 않도록 안면 마스크를 착용해야한다고 조언했습니다. 현재 한국의 MERS 감염은 거의 독점적으로 병원에서 발생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데이터가 있지만, 2,474 개의 학교가 주의로 인해 폐쇄되었습니다.


비록 지금은 MERS가 많이 잠잠해졌고 발병자도 줄어들었지만, 아직까지 많은 사람이 MERS를 두려워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2015년의 계기를 통하여 전 세계의 과학자들이 MERS에 대해서 더욱 많은 관심을 보이고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머지 않은 미래에 좋은 결과를 불러낼 것이라고 기대됩니다.


조회수 146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