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33.jpg
55.jpg

KAIST부설 한국과학영재학교 온라인 과학매거진 코스모스

  • 블랙 페이스 북 아이콘
  • 블랙 인스 타 그램 아이콘

[지식더하기] KSA에서 별자리를 관측하자!!

최종 수정일: 2019년 3월 31일

한과영에서 생활하다 보면 가끔 지칠 때가 많다. 그럴 때 마다 필자는 창조관 8층 하늘정원에서 별을 보면서 힐링을 한다. 물론 별이 안 보이는 날이 많다. 그러나 이따금씩 유난히 바람이 많이 불고 하늘이 깨끗한 날에 볼 수 있는 대표적인 별자리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별자리들은 우리가 특별히 힘든 시기들에 잘 보이는 것들로 골라봤다. 별보기 좋은 장소는 사방이 트이고 빛이 적은 장소가 좋은데, 필자는 창조관 8층 하늘정원과 운동장을 추천한다.


 

1학기 중간고사 기간(4월 셋째주)


봄철 별자리와 겨울철 별자리가 공존하는 이 시기는 사자자리를 보기 좋은 시기이다. 사자자리의 알파성인 Regulus를 찾은 다음 아래 그림의 모양을 상상하며 근처를 보다 보면 어느새 모든 별이 보일 것이다.

아니면 쌍둥이자리나 작은 개자리를 볼 수 있는데, 쌍둥이자리는 밝은 별 두 개, Pollux와 Castor를 잘 볼 수 있고, 나머지 별들은 보기가 힘들다. 작은개자리는 별 두 개로만 이루어져있어서 보기가 매우 쉬운데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들 중 하나인 프로키온을 찾고 근처에서 희미한 별 Gomeisa를 찾으면 된다.


사자자리

쌍둥이자리


작은개자리

 

1학기 기말고사 기간(6월 넷째주)


이제 해가 길어져서 별을 볼 수 있는 시간이 짧아졌다. 8시 반이 되도 해가 다 안져서 사실상 별을 보기가 매우 힘들어진다. 여름철하늘에서 밝은 별들은 Deneb, Vega, Altair, Arcturus 등이 있는데, 앞에 3개는 고도가 낮아서 보기 힘들 수도 있다.

Deneb는 백조자리, Vega는 거문고자리, Altair는 독수리자리, Arcturus는 목동자리의 별이다. 운이 좋다면 토성도 볼 수 있을 것이다. 별자리들은 모두 동쪽에 있고, 밑에 그림을 참고하여 나머지 별들도 찾아보도록 하자.

백조자리

거문고자리

독수리자리

목동자리

 

2학기 중간고사 기간(10월 넷째주)


가을철 별자리들을 볼 수 있는 시기이다. 대표적인 가을철 별자리로는 페가수스자리, 안드로메다자리, 양자리 등이 있다. 페가수스자리의 사각형을 찾으면 나머지 별자리들도 쉽게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날씨가 아주 좋다면 물고기자리도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별자리들은 머리 위, 즉 천정에 주로 있을 것이다.

페가수스자리


안드로메다자리

양자리

물고기자리

 

2학기 기말고사 기간(12월 넷째주)


이제 겨울이다. 겨울은 날씨가 추운 대신 하늘이 맑아서 별을 보기가 좋다. 그리고 밝은 별들도 매우 많다. 대표적으로 시리우스, 베텔게우스, 알데바란, 카펠라 등이 있다.

우선 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을 찾아보자. 그 별이 바로 큰개자리의 시리우스이다. 시리우스에서 시야를 조금씩 옮기다 보면 개의 얼굴과 다리, 꼬리가 보일 것이다.

그 다음으로 일직선을 이루고 있는 세 개의 별을 찾아보자. 이것이 오리온자리의 삼태성, 허리 부분이다. 이제 시야를 조금 위로 올려보자. 그러면 붉은색별이 하나 보일 것이다. 바로 베텔게우스이다. 삼태성에서 시야를 내리면 푸른색 밝은 별이 하나 보일텐데, 바로 리겔이다. 아래 그림을 참고하여 선을 이어나가다 보면 오리온자리의 몸통을 이루는 별들은 쉽게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밝은 별인 알데바란을 찾아보자. 알데바란은 베텔게우스처럼 붉은 색이지만, 베텔게우스보다는 어둡다. 이 알데바란을 황소의 머리라고 생각하고 아래의 그림을 참고하여 황소의 형상을 그려보면 황소자리를 볼 수 있을 것이다.

카펠라는 또 하나의 밝은 별인데, 보통 머리 위에 있을 것이다. 이제 이 카펠라 근처에서 다른 밝은 별들을 찾고 그 별들을 이으면서 다른 희미한 별들을 찾다보면 오각형 같은 육각형의 마차부자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큰개자리

오리온자리

황소자리


마차부자리

모든 한과영의 학생들이 공부하느라 지쳤을 때 이따금씩 별을 보면서 힐링을 하기 바란다.

 

필요한 피직스 2019 봄호


작성자: 18-054 배준수

분야: 천문학


이미지 출처: 스텔라리움 캡쳐본(by 배준수)

조회수 123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