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33.jpg
55.jpg

KAIST부설 한국과학영재학교 온라인 과학매거진 코스모스

  • 블랙 페이스 북 아이콘
  • 블랙 인스 타 그램 아이콘

바이오메트릭스(Biometrics)

최종 수정일: 2020년 10월 19일


최근 휴대폰이나 테블릿 노트북등의 광고를 보면 홍채인식 이나 지문인식이라는 말을 볼수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생체인식 기술은 바이오메트릭스(Biometrics)라고도 불린다.바이오메트릭스는(Biometrics) 하나 이상의 고유한 신체적, 행동적 형질에 기반하여 사람을 인식하는 방식을 두루 가리킨다. 바이오매트릭스에 쓰이는 신체적 특성으로는 지문, 홍채, 얼굴, 정맥 등이 있으며 행동적 특성으로는 목소리, 서명 등이 있다.





우리 주변에 널리 퍼져있는만큼 그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도 중요할 것이다. 그렇다면 생체인식의 기능을 나타내는 척도는 무엇일까?

오인식률(FAR:False acceptance rate): 본인의 것이 아닌 생체인식 정보를 본인의 것으로 잘못 판단할 확률을 의미한다.

오거부률(FRR:False Rejection Rate): 본인의 생체정보를 본인이 아닌 것으로 잘못 판단할 확률을 말한다.

ROC(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곡선: ROC곡선은 오인식률과 오거부률 간의 트레이드 오프를 시각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일반적으로, 본인의 생체정보가 타인의 생체정보로 잘못 인식될 확률이 내려가면 오거부률은 내려가지만, 한편으로 이것은 본인의 생체정보로 판단하는 기준을 느슨하게 한다는 의미를 가지기도 하기 때문에, 오인식률은 올라가게 된다.반대로, 타인의 생체정보를 본인의 생체정보로 인식하는 확률이 내려가면 오인식률은 내려가지만, 오거부률은 올라간다.

동일 오류율(EER:Equal Error Rate): 오인식률과 오거부률이 같아지는 비율을 말한다. EER의 수치는 ROC곡선으로부터 쉽게 얻을 수 있다.EER은 다른 ROC곡선을 가지는 장치의 정확도를 비교하기 위한 빠른 방법이다.일반적으로, 가장 낮은 EER을 가지는 장치가 가장 정확하다.

FTE(Failure To Enroll rate): 사용자가 시스템에 생체정보를 등록하려는 시도가 실패하는 확률을 의미한다.대부분은 생체정보의 입력이 잘못되어 일어난다.

FTC(Failure To Capture rate): 자동화시스템에서 올바르게 입력된 생체정보를 시스템이 감지하지 못 할 확률이다.

주형용량: 시스템에 저장 가능한 데이터의 수이다.

생채인식의 기능은 위의 7가지 지표로 나타내어진다.


그렇다면 생체인식에 사용될 수 있는 특성에는 어떤것들이 있을까? 생체인식을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인간의 물리적, 화학적 행동적 특성은 다양하다. 특정한 상황에 적용해야 할 생체인식정보의 선택은 보편성,유일성,영구성,측정성,성능성,우회성,수용성을 통해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생체인식에 활용할 수 있는 인간의 특성은 크게 신체적인 특성, 행동적인 특성 두가지로 나뉘어진다. 신체적인 특성에는 우리가 쉽게 접해볼 수 있는 지문,홍채인식 이외에도 혈관, 장형, 음성인식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 행동적인 특성에는 필적,립무브먼트,눈깜박임,보행 그리고 키보들르 치는 속도나 타이밍을 이용한 키스트로크 특성을 사용할 수 있다.


최근들어서 활용도가 급격히 높아진 생체인식이므로 당연히 많은 논란이 존재할 것이다. 그중에서도 가장 큰 놀란은 당연히 안정성에 관한것일 것이다. 생체인식을 활용할 때 오인식률을 0에 수렴하게 하려면 오거부률이 높아져 버리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실용화 되어 있는 생체인식은 오인식률이 0이 아닌 상태이며, 생체인식 자체가 보안이 강한 시스템이라고는 말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은행ATM등에서는 생체인식과 비밀번호를 병용해서 양쪽의 입력을 요구하는 것으로 높은 보안을 확보하고 있다.


음성이나 필적 등은 사용자의 그날 상태에 의존하는 인식방법인 반면, 지문, 정맥, 홍채 등은 그렇지 않다는 점에서 정확도가 높다고 하지만, 현시점에서는 비밀번호 등의 방법을 병용하는 것이 안전하고 확실한 수단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생체인식은 상처나 병에 의해, 인식을 하지 못하는 위험이 있고, 대상자가 성장기에 있는 경우, 크기 자체가 바뀌어 오거부률이 올라가 버리게된다. 또, 신체를 바꿀수없기 때문에 한번 복제가 이루어지게 된다면 안전성이 급격히 덜어지게 된다. 또한, 범죄를 저지를 때 사용자를 직접공격하는일이 발생할수도 있게된다.

다음으로 최근에 생체인식과 관련된 사회적인 논란들에대해서 알아보자면 우선,인도정부가 12억 명에 달하는 전 국민에게 생체인식신분증을 발급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아드하르 프로젝트의 시스템 관리와 정보수집, 분석을 맡은 미국 스타트업 몽고 DB가 미국 중앙정보국(CIA)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았다는 게 알려지면서 논란이 일었던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또, 일본 나라 시에서는 환경국에서 근무 중 이탈이나 근무시간의 부정신고를 방지하기 위해서, 출퇴근 시간을 체크할 때 정맥인식을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이것에대해서 직원들을 범죄자 취급하는것이라는 반발이 일어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생체인식은 우리 주변의 영화에서도 많이 표현되어지고 있다.로버트 레드포드가 주연한 영화 스니커(1992)의 대사 중, “내 목소리는 내 여권이지”라는 대사와 영화 마이너리 리포트에서 일상적으로 쓰이게된 홍채 망막 스캔기술, 주인공은 눈을 이식해서 신원을 바꾸고제거한 눈을 통해서 보안시스템에 접근하는 장면등을 보면 우리 주변에서 생체인식이 다양하게 표현되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렇기에 우리는 생체인식이라는 기술을 더 안전하고 완벽하게 바꾸어나가야 할 것이다.


@2018학년도 2학기 바라던Bio

<작성자> 18-103 정윤재

<분야> 바이오테크놀로지

바이오테크놀로지(biotechnology)는 생물의 유전자 DNA를 인위적으로 재조합, 형질을 전환하거나 생체기능을 모방하여 다양한 분야에 응용하는 기술을 말합니다. 생물체의 기능과 정보를 이용해 인류에게 필요한 물질과 서비스를 가공·생산하며, 의약품, 화학 식품, 화학 섬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습니다.

<참고문헌>

바이오메트릭스 시장총조사 2004/후지 키메라 연구/2004년 4월 27일

금융거래에서의 생체인식에 관해/마쓰모토 츠토무

인공손가락등을 사용한 보안공격에 관한자료/일본 금융청/2005년 4월 15일

조회수 857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