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병통치약 수소수! 꾸준히 수소수를 마치면 만병의 근원 활성산소를 없애줍니다!”
“혈액순환을 돕는 게르마늄 팔찌 팝니다!! 부모님 건강 선물로 굉장히 좋아요~”
TV에서, 지하철에서 건강에 좋다고 홍보하는 수소수, 게르마늄 팔찌, 육각수 등등의 대체의학에 많은 사람들은 솔깃 한다. 이러한 대체의학은 정말 효능이 있는 것일까?
활성산소를 없애주는 수소수
수소수는 물(H2O)에 수소(H2)를 인공적으로 넣어 몸에 좋다며 판매하고 있는 물이다. 그들은 수소수에 들어있는 수소과 활성산소와 만나 이를 중화시켜, 각종 암을 예방한다고 한다. 하지만 수소는 무극성이기 때문에 상온에서 물 1L에 녹을 수 있는 수소의 양은 고작 0.0016g밖에 되지 않을뿐더러 이러한 수소들도 우리 몸에 들어와 온도가 올라가고 위산과 섞이며 전부 빠져나가게 된다. 또한 설령 실제로 다량의 수소가 실제로 녹아 있다고 해도, 이는 의학적으로 증명된 것이 전혀 없다. 실제로 활성산소는 홀전자를 가진 ‘자유 라디칼’이기 때문에 불안정하고 반응성이 커 위험한 것인데, 수소는 이를 안정화하는 능력이 없다.
혈액순환을 돕는 게르마늄 팔찌.
또 다른 상술은 바로 게르마늄 팔찌이다. 게르마늄 팔찌를 판매하는 사람들은 게르먀늄 팔찌에서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방출되기 때문에 우리 몸에 좋다고 이야기한다. 원적외선은 적외선 영역 중 파장이 가장 긴 영역, 15 μm ~ 1 mm 파장대의 전자기파를 말한다. 실제로는 게르마늄이 원적외선을 방출한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피부 표면의 0.2mm 각질층까지 도달하며 흡수, 산란되어버린다. 게다가 애초에 게르마늄의 원적외선 방사율은 타 원소들과 크게 다르지 않으며, 오히려 뜨겁게 달궈진 백사장에 가는 것이 원적외선을 더 많이 쬘 수 있을 것이다. 게르마늄 팔찌가 음이온을 방출해 건강에 좋다는 것 또한 허위 사실인데, 큰 에너지를 받지 않고서는 가만히 있는 게르마늄이 음이온을 방출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음이온의 효과라고 알려진 것들 또한 모두 사실이 아니다.
육각수는 만병통치약.
사람들은 육각수가 각종 성인병에 효과가 있으며 비만이나 노화, 아토피에도 좋다고 이야기한다. 이들이 말하는 육각수란 수소결합에 의한 물의 화학적 구조 중, 육각 구조를 가지는 물을 이야기한다. 그들은 흘러가는 물이 썩지 않고, 체액이 부패하지 않는 이유가 전부 육각수에 있다고 본다. 하지만 애초에 부패는 ‘유기물’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물은 절대 썩을 수 없다. 게다가 육각수를 만든다고 해도, 이를 흔들고, 온도가 체온으로 올라가고, 위 속에서 뒤섞이면 물의 분자구조는 전부 깨져 재배열되게 된다.
만성피로와 산성체질
몇몇 사람들은 만성피로의 원인이 우리 몸의 산성화 때문이라고 말한다. 원래 채식 위주의 건강한 식단으로 우리의 몸은 알칼리성을 띄고 있는데 서구의 식단에 의해 그것이 무너져 컨디션이 나빠지는 것이라고 한다. 이런 주장을 하며 몸을 다시 ‘알칼리화’시켜주는 건강 보조식품을 팔기도 한다. 그러나 아무리 이러한 것들을 섭취해봐야 우리 몸의 pH는 변하지 않는다. 몸의 pH가 변하면 체내 분자들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해 피로하기도 이전에 죽어버리기 때문에, 우리 몸은 다양한 완충작용을 통해 pH를 유지한다.
이러한 확인되지 않은 일명 ‘유사과학’은 소비자들의 심리를 자극해 비싼 가격에 이러한 것들을 구매하도록 한다. 과학자들은 이러한 상품을 과학적으로 꼼꼼히 따져볼 것을 요구한다. 모두 “논문도 나왔어요.”,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효과를 봤어요.” 등등의 말에 넘어가지 말도록 하자.
<참고문헌>
[1] https://www.mk.co.kr/news/it/view/2018/02/78033/
[2] http://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174325
[3] http://fluorf.net/lectures/lectures1_2.htm
[4] https://www.sema.or.kr/webzine/180426/sub_06.html
<이미지>
[1] https://www.thinkfood.co.kr/news/articleView.html?idxno=66921
[2]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6/07/2018060701521.html
[3]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6250hijk&logNo=221417739126&categoryNo=31&parentCategoryNo=0&viewDate=¤tPage=1&postListTopCurrentPage=1&from=search
[4] http://fluorf.net/lectures/lectures1_2.htm
[5] http://www.cleanglorybiz.co.kr/%EC%9E%90%ED%99%94%EC%9C%A1%EA%B0%81%EC%88%98-%EC%86%8C%EA%B0%9C
[6] https://jangclean.tistory.com/entry
[7] http://www.kmp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5123
<동영상>
[1] https://youtu.be/CLcPWaeCmq4
Chemi 학생기자 유호정
2019년 가을호
지식더하기
물리화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