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2일Now You See Me: 당신의 속을 들여다보다당신은 투시 능력을 가지면 무엇을 하겠는가? 광학과 인공지능을 통해 구현한 최첨단 기술, 21세기판 투시인 홀로토모그래피(holotomography)가 여러분의 눈 앞에 있다.
7월 2일2023 KSA R&E : 물리07팀 인터뷰R&E는 KSA 연구활동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올해 R&E를 진행하고 있는 팀 중, 양자물리학을 주제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물리07팀을 인터뷰했습니다.
7월 2일노벨상 메이커 ‘이휘소’를 아십니까?“이휘소는 현대 물리학을 10여 년 앞당긴 천재이다. 이휘소가 있어야 할 자리에 내가 있는 것이 부끄럽다.” 무함마드 압두스 살람(1979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 소감 중) 한국이 낳은 천재 물리학자 이휘소에 대하여
7월 2일달에서 살아남기!마지막 달 유인 탐사로부터 50년이 흐른 현재, 다시 유인 달 탐사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그와 더불어 이번엔 달에서의 장기체류 가능성까지 시험하고자 한다. 지구에 비해 너무나도 다른 환경인 달, 달에서의 장기체류를 위해선 어떤 물품들이 필요할까?
6월 27일미지의 소음, Earth Humming과학자들은 근 몇 년간 정체를 알 수 없는 저주파음을 관측하였다. 사람의 귀에는 들리지 않지만 전지구적으로 전달되는 미지의 파동의 원인을 밝히고 분석해본다.
2022년 12월 21일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우주의 탄생을 보러 간다작년 크리스마스에 발사된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은 허블의 뒤를 잇는 고성능 망원경으로 평가받는다.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특징과 기대에 대해 알아보자.